I. 실험목적
전기장이 형성된 도체판 위에서 전국의 형태에 따른 등전위선의 모양을 그리고 이로부터 전기장의 방향을 알아본다.
공간적으로 장이 형성되는 모양을 확장하여 생각해보고
우리가 살고 있는 실제 공간에 무수히 얽힌 전기장 및 자기장 등에 관한 관계들을 알아본다.
2. 실험이론
전위 : 단위 전화의 위치에너지 (퍼텐셜 에너지 )
(생략)
4. 실험방법
전국에 금속 압정을
인터페이스의 센서채널 A에 연결한다.
전압센서를 설정해준다.
1)
이용하여 ,
꽂은 다음, 악어 클립이 달린 바나나 플러그 도선을
2)
3)
4)
Carlone 파형을 DC. 신호발생기
소프트웨어
전압을 V로 설정한 다음, Auto 버튼을 창을 닫는다.
클릭한다.
구성한다음,
OutPut I 단자에 연결한다.
화면 왼쪽의 신호 받생기 창을 열고, OutPutI 에서
화면에 숫자 표시기 또는 미터기 디스플레이를 측정값으로 전압을 선택한다.
Carlon e
Record 버튼을 누른다.
전압센서를 아날로그 CupStone 소프트웨어의 하드웨어 셋업에서
원형 전극을 위치시킨다.
6) 등전위선을 그리려면 , 먼지 전압 센서가 원하는 전위를 가리킬때까지 프로브를
움직인다.
연한 색의 연필로 종이위에 해당지점을 표시한다.
8) 프로브를 계속 움직이되 같은 전위가 측정되는 곳을 찾는다. 이 지점들을 계속 표시한다.
9) 표시된 점들을 연결하여 등전은번을 그린다 .
5)
7)
10) 직선 전극으로
반복 실험한다.
6.
토론
및 결론
0.3V에서 0.1V씩 올려서 0.7V 인 곳까지 여러개 이어그렸을때.
조금 휘어지는 것은 0.3V와 0.7V의 등전위신에서 확인할수 있었다.
원형전극에서 그 주위로 전극에 가까워질수록 많이 휘어진 포물선 형태의 모양이 나타났고, 중앙인 0.5V에서는 일직선의 형태로 나타났다. 등전위선에서의한점을중심으로잡고컴퍼스로원을그려그원위에서 전위차가최대인방향을 찾아 점을 찍어 연필로 화살표를 그려본다면 등진위선에 수직인 방향에 가깝게 그려질 것이다.
직선 전극에서는 동전 위선이 거의 일직선의 형태로 나타났다. 직선전극에서 0.3V와 0.7V는 전국 쪽으론 선이휘어야하지만 몇개의점만찾아서 이어그렸기 때문에 맨끝에조금 휘어진것을빼면 확실하게 눈으로 알기 어려웠다. 직선 전극과 원형전극 둘 다 조금씩 비뚤어지게 그려졌는데 , 이러한오차가나는이유는 똑같은곳에 멀티미터를 갖다댈때마다
정확한 한점을 찾기 어려워서 라고 생각한다.
또한 육안으로 측정하였기에 점을 그릴때 정교하게 그리기 어렵다.
원형 전극과 직선전극을 위치 시킬때 정확하게 같은 지점에 같은 각도로 위치시켰는지
전극에 가까워질수록
갑이미묘하게달라져서
7.
않아서 등전위선의 모양에 오차가 생길수 있다.
'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 물리] 키르히호프 법칙 실험보고서 (1) | 2024.06.11 |
---|---|
[일반 물리] 축전기회로 실험보고서 (0) | 2024.06.11 |
[일반 물리] 유도기전력 보고서 (0) | 2024.06.11 |
[일반 물리] 미지저항 측정 실험보고서 (0) | 2024.06.11 |
[공학 에세이] 사회 영향 에세이 (1) | 2024.06.11 |